본문 바로가기

EXHIBITIONS

Price Sticker-The Objet

 

 


 






Price Sticker

'The Objet'


 


 




2015.07.23~07.29

SEOHAK ART SPACE, JEONJU

 

 

Performance

07.25

PM 02:00 (약 10분간 진행)






 

 


 

 

 

 

2015,  Seohak Art Space,  JeonJu

 

 

 

 

 

 

 

 

 

 

2015,  Seohak Art Space,  JeonJu

 

 

 

 

 

 

[ ARTIST STATEMENT ]

 

"Pay money!"

Putting a price sticker on something is “an action" and behind it is “value judgement.” Value judgement is possible with only a “subject” and “standard” of judgement. How can you be sure of the subject and standard? What on earth is “value” anyway? The subject of such concern has to ask himself these questions. How should we judge this? Are these questions even worth asking?.. ■

 

 

 

 

[ REMARKS OF RECOMMENDATION ]

 

The Object in the Price Sticker series by Enzi.Yang is neither a collection of photographs nor a book but a new object in itself. His photo show displays a composition much more intriguing than a normal photo exhibition. Rather than just showcasing photographs hung on a wall, this exhibition composed of photos is an object itself. Yang enables viewers to gain a new perception through the price stickers often found in our surroundings by making them experience an object for themselves. There are no pages in The Object and no beginning or end, allowing viewers to witness innumerable stories. ■

- Elliot MacGuffin

 

 

 

 

 

 

 

[ 작가 노트 ]

 

'돈을 지불하라!'

가격표 붙이기는 하나의 행위이다. 그 이면에는 가치 판단이 있다. 하지만, ‘가치 판단은 판단의 주체기준의 공모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당신은 주체기준에 대해 확신하는가? 도대체 가치란 무엇인가? 고민의 주체는 다시 스스로(주체)에게 질문해야 한다. 이것을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가? 도대체 이러한 질문들은 가치가 있는가?.. ■

 

 

 

[ 추천의 글 ]

 

엔지 양‘Price Sticker’ 시리즈 중 ‘The Objet’는 사진집도 아니고 책도 아닌 새로운 오브제이다. 사진전이라고 하기에는 정말 흥미로운 구성이다. 벽에 걸린 사진이기보다는 사진으로 구성된 그 자체가 하나의 오브제가 되었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사진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의 오브제를 통해 관객들 스스로 경험하게 만듦으로서, 흔히 볼 수 있는 가격표 Price Sticker’로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게 했다. ‘The Objet’에는 페이지가 없다. 시작도 없으며 끝도 없다. 이로써 당신은 무수한 이야기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

- 엘리엇 맥거핀

 

 

 

 

 

 

 

 

 

 

 

Price Sticker-The Objet1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2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3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4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5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6   Archive pigment print 52.9×35.3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7   Archive pigment print 52.9×35.3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8   Archive pigment print 52.9×35.3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9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10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11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12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13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14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4

 

 

 

 

 

 

 

 

 

 

Price Sticker-The Objet15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16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17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18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4

 

 

 

 

 

 

 

 

 

 

Price Sticker-The Objet19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20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21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Price Sticker-The Objet22   Archive pigment print 35.3×52.9cm, 2015

 

 

 

 

 

 

 

 

 

 

 

 

 

[ A Critique of the Exhibition Price Sticker ]

 

 By Seo Min-seok

 

 

 

A desertion from form

 

It hasn't been long, in comparison to the history of art, since photographs began to be hung on the walls of museums. The term “museum” originated from museion, a word for a place devoted to the Muses. Museums and art museums were originally of a religious nature as mankind produced works of art for use in rituals. That is, they were produced for ritual value. The onset of the museum and the art museum was to bring artworks and objects dedicated to gods together under the same roof in order to view them with respect and awe. However, as people no longer involved their artistic activity in rituals, works of art were produced for exhibitions. In modern times, exhibition value pushed out ritual value. The human face finally managed to retain this ritual value in the form of photographic portraits. As no people were found in photos, exhibition value held a more prominent position than ritual value.

 

Walter Benjamin paid attention to Eugene Atget’s shots that contained no presence of people. He thought that ritual value and exhibition value were tw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defining artworks and that one ousted the other in art history. The poor, unknown actor Eugene Atget (1857-1927) erased realistic makeup and a false aura with empty scenes of Paris at dawn.

 

(Atget’s photographs) They suck the aura out of reality like water from a sinking ship.

- Little History of Photography by Walter Benjamin

 

Benjamin expressed his strong repulsion towards the aura because he considered it to be the shell of an object. He thought that a modern perception aims to remove the shell from the aura, that is, destroy it.

 

In contemporary exhibitions however, diverse curating techniques, lighting, composition, and display are all forms of consolidating the aura. Despite such reinforced aura, viewers pass by works of art like running water. What are they able to feel from such works they stand less than one minute before? The subtitle The Object of the exhibition Price Sticker demonstrates a desertion from form in this context.

 

Yang’s shots hung on the wall appear as new objects. It is said one becomes a viewer when his or her political stance is removed. His work makes a foray into consolidating relation and perception. Is the description made by Deleuze and Guattari that The Object is an attempt to “contact” exaggerated? The Object is another existence and a performance of symbolic storytelling. The destruction of aura that Benjamin argued about is also another form.

 

 

 

Fact Judgement and Value Judgement

 

“Value” is the relation between an object and the criterion we have set. “Value” and “anti-value” are represented by the characters of “good” and “bad” but “value” itself is inclusive of them. “Judgement” is a represent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wo different concepts or presentations.

 

The problem of “value judgment” can be solved in a way that is extremely emotional, selfish, and violent which may lead to the suppression of many. We thus have to join in on this value judgement and protect ourselves from being suppressed. Value judgement may exert its influence on us while “fact judgment” loses its effect the moment something is verified as a fact. Since a fact is an already completed system in itself, it does not restrain one’s thinking. While a fact is in the exterior, value is in the interior of humanity. That’s why humans constantly have arguments when dealing with value judgements. Terms such as “logical” and “scientific” seem as though they seek objectivity and fact but they are in all actuality thoroughly influenced by prejudiced values. These are nothing but means to instill one’s values on others by determining whose judgment is more superior.

 

Yang exposes a conspiracy between “subject” and “standard” through the act of putting price stickers on things and asking what it means. Only commodities can be labeled with price stickers. Before commodities emerged, there was no word that meant "value." (Value in economics refers to exchange value.) Any commodity that cannot be exchanged with currency has no value. One’s purchase desire has to be induced to enhance the value of a commodity, which gives rise to advertisement aesthetics. Commodity aesthetics distort the idea of beauty to stir up one’s purchase desire. You may find objects labeled with price stickers in the photographs. What commodity value do you find in these things? What price sticker would you use? Is that price sticker appropriate? Does the artist try to shed light on a commodity society (where use value is replaced with exchange value and each thing’s unique qualities are removed) and the status of humanity in such a society?

 

 

 

The subject and the other

 

A price sticker is an index. If we burrow into what it exposes, we come to realize that one’s desire is here.

 

“Humans desire others’ desire.” (Jacques Lacan) An action of value judgement - applying a price sticker is based on our desire. What we think is our desire is actually another's desire. We always have to support the world (the other) in a struggle between "I" (the subject) and 'the world' (the other). We may become the subject when we realize the absence or limit of the subject (desire). What does realizing the absence and limit of the subject mean?

 

There is an old saying that “You look at your image in the man, not in the glass.” (無於鑒水鑒於人) If one looks at their image in the mirror, they just see their outer appearance; however, if they look at themselves in the man, they are able to see their personality. You may perceive your subject’s absence or limit when you reflect yourself onto the other rather than entering into your inner self. The true subject comes into being when one perceives otherness. Does the price sticker enable us to face or look at ourselves by reflecting onto the other? A price sticker put on the other is a disclosure of the way the subject treats the other in a commodity driven society. It is a capitalistic mirage that has warded off otherness as if dispelling evil spirit. "Putting a price sticker" is an awakening of my disinterest in the subject’s violence against the other. ■

 

 

 

 

 

 

 

 

[ PRICE STICKER 전시에 대해 평론하다 ]

 

 서  민  석

 

 

 

 

형식의 탈주 (désertion)

 

사진이 미술관에 걸리기 시작한 것은 예술의 역사에 비하면 일천하기 그지없다. 뮤지엄(Museum)이라는 말은 그리스 여신인 뮤즈(Muse)신을 섬기는 신전인 뮤제이언(Museion)에서 유래한 것이다. 박물관과 미술관은 원래 종교적 성격을 가진다. 인류가 처음에 예술작품을 만든 것은 주술에 사용되는 형상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다. , 제의가치에 의해 만들어졌다. 신에게 바치는 물건과 예술품들이 한 곳에 모아지면서 경배와 신비, 경외의 눈으로 바라보던 것이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차츰 예술 활동이 儀式의 목적에서 해방됨에 따라 예술작품은 점점 더 전시를 위해 만들어졌다. 근대에 가까워질수록 전시가치는 제의가치를 밀어낸다. 제의가치의 최후의 보루는 인간의 얼굴이었다. 초상 사진이 그것이다. 이후, 사진에서 사람의 모습이 사라지면서 비로소 전시가치는 제의가치보다 우월한 지위를 획득한다.

 

발터 벤야민이 주목한 것이 바로 사진에서 사람의 모습이 사라진 앗제의 사진이다. 벤야민은 제의가치와 展示가치(exhibition value)가 예술작품을 규정하는 두 개의 특징적 성격이며, 이 두 성격 중 하나가 다른 하나를 밀어내고 들어서는 역사가 곧 예술의 역사라고 생각했다. 가난하고 알려지지 않은 무명배우 으젠느 앗제(Eugene Atget 1857~1927)는 텅 빈 새벽 파리 거리로 현실의 분장(거짓 아우라)을 지워버렸다.

 

‘(앗제의 사진들) 영상들은 침몰하는 배에서 물을 빨아들이듯이 현실에서 아우라를 빨아들인다.’ - 발터 벤야민, 사진의 작은 역사」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 184.

 

벤야민이 아우라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표시한 것은 아우라가 대상의 본질을 감싸고 있는 껍질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대상에서 그것을 감싸고 있는 껍질에서 때어내는 일, 다시 말해 아우라를 파괴하는 일이 현대적 지각이 갖는 특징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현대의 전시회를 보라, 다양한 큐레이팅 기법들, 전시장의 조명, 구도, 배치 등은 여전히 아우라를 강화하는 형식이다. 이렇게 강화된 아우라에도 불구하고 관객은 물 흐르듯 작품 속을 스쳐 지나간다. 채 일분도 안 되는 시간을 스쳐 지나가며 과연 작품 속에서 무엇을 느낄 수 있단 말인가? ‘Price Sticker’의 부제 ‘The Objet’는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진 형식의 탈주이다.

 

벽에 걸린 사진,, 그렇다고 사진집도 아닌 새로운 오브제로서 존재한다. 사람들을 관객으로 만드는 것은 그들의 정치적 입장을 제거하는 것이라 했다. 반대편에서서 바라보기보단 자신의 손으로 넘겨보기를 통해 관계와 인식을 강화하려는 시도이다. ‘The Objet’를 들뤠즈와 가타리가 펼치는 접속의 시도라 하면 너무 과장된 것일까? 오브제는 또 다른 실존이자 상징적인 스토리텔링의 연기(演技)이다. 벤야민이 직시했던 사진의 본질인 아우라 파괴의 또 다른 형식이다.

 

 

 

 

사실판단가치판단

 

가치란 하나의 대상과 이를 평가하는 인간이 마련한 기준 사이에서 생기는 관계이다. 가치는 '좋다' 또는 '나쁘다'라는 성질로 나타나는 가치(價値)’반가치(反價値)’로 구별되지만, 포괄적으로는 이들을 함께 포함한다. ‘판단이란 두 개의 서로 다른 개념 또는 표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가치판단의 문제는 지극히 감정적이고 이기적이며 폭력적이어서 많은 사람들을 억압한다. 그렇기 때문에 억압당하지 않기 위해 가치판단에 뛰어들어 자기를 방어해야 한다. ‘가치판단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고 사실판단은 그것이 사실로 확인되는 순간 영향력을 상실한다. ‘사실은 그 자체로 이미 완성된 하나의 체계이기 때문에 인간의 사고를 구속하지 못한다. ‘사실은 외부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반면, ‘가치는 인간의 내부에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끊임없이 가치판단을 두고 논쟁을 벌인다. ‘논리적이다’ ‘과학적이다라는 말은 언뜻 그 자체가 객관성이나 사실을 추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내면에는 철저한 가치편향적인 영향력이 자리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단지, 가치와 사실이 혼합된 판단문제에서 사실적인 우위를 점해 자신의 가치를 타인에게 주입시키기 위한 수단일 뿐인 것이다.

 

가격표 붙이기라는 행위에서 작가는 가치판단이라는 행위가 갖는 주체기준의 공모를 폭로하고 관객에게 질문한다. 가격표를 붙일 수 있으려면 상품이라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상품이 나타나기 전에는 가치’(경제학에서의 가치란 교환가치를 의미함)라는 말이 없었다. 화폐로 교환되지 못하는 상품은 가치가 없다.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간의(구매)욕구를 자극해야 한다. 광고미학은 이렇게 탄생한다. 상품미학은 오로지 인간의 (구매)욕구를 자극하기 위해 를 왜곡한다. ‘Price Sticker’가 붙은 사진속의 사물(타자)들을 보라! 당신은 어떠한 상품가치를 보았는가? 당신은 어떠한 ‘Price Sticker’를 붙이겠는가? 사진 속 가격표는 저곳에 붙어있을 수는 있는 걸까? 작가가 가격표 붙이기를 통해 드러내려고 한 것이 상품사회(모든 사용가치를 교환가치로 치환 시켜 버리며 사물의 고유한 특성을 말살시켜 버리는)의 인간의 위상에 대한 조명일까?

 

 

 

 

주체타자

 

‘Price Sticker’는 하나의 인덱스다. 이 인덱스가 누설하고 있는 것을 좀 더 깊이 파헤쳐 보면 거기에는 욕망이 존재한다.

 

인간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한다.’ [라캉] ‘가격표 붙이기라는 가치판단 행위의 기저는 욕망이다. 그 욕망의 정체는 나의 욕망이라고 착각하는 타자의 욕망이다. 카프카의 말대로 우리는 (주체)’세상(타자)’의 싸움에서 언제나 세상(타자)’을 지지해야 한다. ‘주체(욕망)’의 공백과 한계를 인식할 때 우리는 비로소 주체가 된다. 주체의 공백과 한계를 인식한다는 건 무얼 의미하는가?

 

무어감수감어인(無於鑒水鑒於人)’ [묵자] ‘자신을 물에 비추어 보지 말고 사람에게 비추어 보라는 말이다. 거울에 비추어보면 외모만 보게 되지만, 자기를 다른 사람에 비추어보면 자기의 인간적 품성이 드러난다. 주체의 공백과 한계는 주체의 내면 안으로 들어가는 방식이 아니라, 자기를 다른 사람(타자)에 비추어 볼 때 비로소 인식이 가능하다. 진정한 주체는 여기(타자성의 인식)에서 탄생한다. Price Tag는 우리의 욕망이자 나를 직시 하게 하는 감어인(鑒於人)인가? 타자에 붙여진 가격표는 바로 주체가 타자를 대하는 상품사회의 방식에 대한 폭로이다. 역사적 변화의 동력인 타자성을 악령 몰아내듯 몰아낸 자본주의적 신기루다. ‘가격표 붙이기는 주체가 타자를 대하는 폭력성에 이미 무심해져버린 나에 대한 각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