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XHIBITIONS

Poem & Line

 

 

 

 

 

 

 

 

 

Poem & Line

& 선

詩 & 線

 

 

 

 

 

 

 

2017.02.22~02.27

GANA ART SPACE, SEOUL

 

 

 

 

 

 

 

 

 

 

 

 

 

 

 

 

 

[ ARTIST STATEMENT ]

 

Only things are aware of their real names. What we perceive is nothing but their “etaphor.”

- Etaphor (essence + metaphor) : A metaphorical revelation based on the essence of things.  ■

 

 

 

 

[ REMARKS OF RECOMMENDATION ]

 

A poem is a metaphor. Metaphors are searched in photographs: tangled, drooping electric wires among utility poles, trees, roofs, and so on ------ On a closer view, however, no metaphors are discovered. Melancholic images in achromatic colors and a koan-like title, Poem & Line --- Our expectation that his work perhaps relies on a typological composition is not on target. As in the art of our times, we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hen viewing works with different linguistic codes. A completely calculated frame that seems rather intuitive reminds viewers that it was “derived from there at that time,” allowing them to experience the facades of electric poles and wires. Such common things suddenly become unfamiliar.

 

All “languages” named after the birth of mankind have been the result of the namers’ or the subjects’ consciousness. Such languages are again deposited in the subjects’ consciousness and repeat their cycles of reconstructing the subjects. The existence of any object is made possible not by our naming it, but the name functions as “a metaphor for its essence.” With this, a line becomes a poem. French philosopher Jean-François Lyotard (1924-1998) asserts in Discourse, Figure that “Figure emerges at the post where the limitation of language is revealed.” Such limits of language are experienced through images and figures with various layers. The artist has captured the moment of such “etaphor.” Let’s look at objects closely. An object itself becomes a metaphor and gives its eye to us, not as a metaphor within the object we see.  ■

- Baek Geonbin

 

 

 

 

 

Enzi.Yang,  2017,  Gana Art Space, Seoul

 

 

 

 

 

 

[ 작가 노트 ]

 

사물의 진짜 이름은 오직, 사물만이 알고 있다. 우리가 인지하는 것은 사물의 '에타포(Etaphor)'이다.

 * 에타포 'Etaphor' (Essence + Metaphor) : 사물의 본질에 의한 은유적 현시(顯示)  

 

 

 

 

[ 추천의 글 ]

 

()은유(隱喩 Metaphor)이다. 사진 속 은유를 찾아본다. 전신주와 함께 얽히고 늘어진 전선, 나무, 지붕.. 그런데, 자세히 봐도 은유는 보이지 않는다. 무채색의 멜랑콜리(Melancholy)한 이미지, 시 & (詩 & : Poem & Line)’이라는 선문답(禪問答) 같은 제목.. 유형학(Typology)적 구성일 것이라는 예상도 빗나갔다. 동시대 예술이 그렇듯, 언어적 코드가 다른 작품을 만나게 될 때면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 오히려, 직관적인듯 보이지만 철저히 계산된 프레임은 '그 때, 거기에서 비롯되었음'을 상기시켜주며, 전신주와 전선의 파사드(Facade)를 체험하게 만든다. 그 흔한 것들이 문득 낯설어졌다.

 

인류의 탄생 이후, 명명(命名)되어지는 세상의 모든 언어들은 그 명명의 주체명명자(命名者)의 의식(意識)을 통해 요청되어진 결과물이었다. 그렇게 발생한 언어들은 주체의 의식 속에 침전(沈澱)되어 다시, 그 주체를 구축(構築)하는 순환을 반복한다. ‘대상(對象)’의 존재 우리가 명명했기 때문이 아니다. 대상은 이미 그 스스로가 본질(Essence)에 대한 은유’로 존재한다. 이로써, (線)()’가 되었다. 프랑스의 철학자 리오타르(Jean-François Lyotard 1924~1998)는 『담론, 형상』(Discours, Figure)에서 '형상(形象)은 언어의 한계(限界)가 드러나는 지점에서 출현한다.'고 주장한다. 표면으로만 흐르는 언어의 한계가, 여러 층위를 갖는 이미지 형상으로 체험되어졌고, 작가는 이러한 '에타포(Etaphor)'의 순간을 사진으로 남겼다. 이제 천천히 바라보자. 내가 바라보는 대상 속 은유가 아닌, 대상이 그 스스로 은유가 되어 나에게 ‘시선(視線)’을 던진다.  

- 백건빈

 

 

 

 

 

 

 

 

 

 

 

Poem & Line  No.1  Pigment Print, 18.2×12.1cm, 2016

 

 

 

 

 

 

 

 

 

 

 

 

 

 

Poem & Line  No.2  Pigment Print, 18.2×12.1cm, 2014

 

 

 

 

 

 

 

 

 

 

 

 

 

 

Poem & Line  No.3  Pigment Print, 18.2×12.1cm, 2016

 

 

 

 

 

 

 

 

 

 

 

 

 

 

Poem & Line  No.4  Pigment Print, 18.2×12.1cm, 2014

 

 

 

 

 

 

 

 

 

 

 

 

 

 

Poem & Line  No.5  Pigment Print, 18.2×12.1cm, 2016

 

 

 

 

 

 

 

 

 

 

 

 

 

 

Poem & Line  No.6  Pigment Print, 18.2×12.1cm, 2016

 

 

 

 

 

 

 

 

 

 

 

 

 

 

Poem & Line  No.7  Pigment Print, 18.2×12.1cm, 2016

 

 

 

 

 

 

 

 

 

 

 

 

 

 

Poem & Line  No.8  Pigment Print, 18.2×12.1cm, 2016

 

 

 

 

 

 

 

 

 

 

 

 

 

 

Poem & Line  No.9  Pigment Print, 18.2×12.1cm, 2016

 

 

 

 

 

 

 

 

 

 

 

 

 

 

Poem & Line  No.10  Pigment Print, 18.2×12.1cm, 2016

 

 

 

 

 

 

 

 

 

 

 

 

 

 

Poem & Line  No.11  Pigment Print, 12.1×18.2cm, 2014

 

 

 

 

 

 

 

 

 

 

 

 

 

 

Poem & Line  No.12  Pigment Print, 12.1×18.2cm, 2014

 

 

 

 

 

 

 

 

 

 

 

 

 

 

Poem & Line  No.13  Pigment Print, 12.1×18.2cm, 2014

 

 

 

 

 

 

 

 

 

 

 

 

 

 

Poem & Line  No.14  Pigment Print, 12.1×18.2cm, 2014

 

 

 

 

 

 

 

 

 

 

 

 

 

 

Poem & Line  No.15  Pigment Print, 12.1×18.2cm, 2014

 

 

 

 

 

 

 

 

 

 

 

 

 

 

Poem & Line  No.16  Pigment Print, 12.1×18.2cm, 2014

 

 

 

 

 

 

 

 

 

 

 

 

 

 

Poem & Line  No.17  Pigment Print, 12.1×18.2cm, 2016

 

 

 

 

 

 

 

 

 

 

 

 

 

 

Poem & Line  No.18  Pigment Print, 12.1×18.2cm, 2016

 

 

 

 

 

 

 

 

 

 

 

 

 

 

Poem & Line  No.19  Pigment Print, 12.1×18.2cm, 2016

 

 

 

 

 

 

 

 

 

 

 

 

 

 

Poem & Line  No.20  Pigment Print, 12.1×18.2cm, 2016

 

 

 

 

 

 

 

 

 

 

 

 

 

 

Poem & Line  No.21  Pigment Print, 12.1×18.2cm, 2014

 

 

 

 

 

 

 

 

 

 

 

 

 

 

Poem & Line  No.22  Pigment Print, 12.1×18.2cm, 2016

 

 

 

 

 

 

 

 

 

 

 

 

 

 

Poem & Line  No.23  Pigment Print, 12.1×18.2cm, 2016

 

 

 

 

 

 

 

 

 

 

 

 

 

 

        

Poem & Line  No.24  2014,      No.25  2014

 

 

 

 

 

 

 

 

 

 

 

 

        

Poem, Line  No.26  2016,      No.27  2016

 

 

 

 

 

 

 

 

 

 

 

 

        

Poem, Line  No.28  2016,      No.29  2016

 

 

 

 

 

 

 

 

 

 

 

 

 

Critical Writing on Poem, Line ]

 

By Seo Min-seok

 

 

 

Dances with Wolves, a 1990 American film directed by, produced by, and starring Kevin Costner shows how North American Indian tribes have a very unique way of expressing things. Their names include Stands with A Fist, Wind in His Hair and Dances with Wolves, the main character who befriended wolves. Their full names contain no family names. Animals, trees, and even stones act as their family so they have not needed any family names of their own. Their world is full of names. They give their hearts to everything that exists in the world and give them suitable names. This is why their own names have their own resonances.

 

 

 

Adam’s Language

 

Adam’s Language is a term coined by Walter Benjamin (1892-1940) in Über Sprache überhaupt und über die Sprache des Menschen (On Language as Such and on the Language of Man), an essay featuring his early thoughts on the nature of language. The title sounds quite offbeat. It signifies that there is a general language (a language of things) and a language of man, alluding that language is not the preserve of men and all things have their own language. A thing can be created and recognized by its “saying.” There was a time when the spiritual nature of a thing was spontaneously disclosed only if its name was called. During this time, humans were not yet subjects and nature was not yet an object. As its name was given by discovering its linguistic nature, the name itself disclosed its nature, and humans were able to communicate with things and nature. However, humans lost this language when abstract concepts were created and adopted.

 

 

 

Photography Is Language!?

 

Humans who have lost “Adam’s Language” have undergone a history of degradation. While humans were intoxicated by this history, photography was invented. Language has evolved from body language to images, images to sound, sound to words, words to letters, and finally letters to video language. The onset of this video language is photography. Photography is a universal language that needs no interpretation or translation. The camera obscura is the departure point of modern photography. “Seeing is reading” photography says.

 

As Richard Rorty (1931-2007) pointed out,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is the history of predominant visual metaphors. “Seeing” (voir) is “knowing” (savoir). It’s not surprising that philosophical concepts such as reflection, speculation, and vison are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 of “seeing” etymologically. (Konermann) Theories (theoria) regarded as the results of most invaluable spiritual activities are appropriated from the territory of sight. (Jonas) Human history has mainly been inspired by the sense of sight, but a sight-centered culture is not an absolute condition in humanics. That is a historicized structure.

 

In Essay on the Origin of Languages (Essai sur l'origine des langues) Jeon-Jacques Rousseau lays out a narrative of the beginnings of language: language itself started from metaphors. As the origin of speech was emotion, humanity’s first speech was an analogy (metaphor).

 

 

 

Metaphor as Illness

 

In Illness as Metaphor, Susan Sontag (1933-2004) investigates social prejudices deriving from metaphorical expressions of diseases. For instance, tuberculosis has always been surrounded by romantic images. Tuberculosis is an illness poets, artists, and Bohemians suffer from. Tuberculosis patients consume themselves with agony and fever. As typhoid is defined differently as a contagious disease, this illness becomes something fraught with social prejudices and curses. When AIDS is defined with negative words such as modern plague, homosexuality, extramarital intercourse, and lewd sexual desire and some negative images are thus added to this disease, the word AIDS itself drives some to suicide as in the film You’re My Sunshine! What kills a person is perhaps not merely the illness. Horrible words humans have coined to define diseases might also impact the people who suffer them. Sontag argues “A disease is just a disease and something to be cured.”

 

We usually think that language expresses facts. The varying attributes of substance are shrunken or concealed when something is expressed in language. This is because language only underscores an aspect of reality through concept, analogy, or symbol.

 

In Metaphors We Live by, American cognitive linguists George Lakoff and Mark Johnson claim that the use of metaphorical expression is in no way accidental and our thinking process and concept system are rather entirely dependent on metaphors. If a language has stemmed from metaphors for life, we are still living our tough lives as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of metaphors.

 

Lakoff refers to an “image metaphor” and a “conceptual metaphor.” Zen-like, poetic expressions died out and a philosophical life, a life that is dominated by “concepts” in lieu of “images” that started out as abstract nouns, had begun to emerge. We feel as though metaphors in everyday life have disappeared when image metaphors are replaced with conceptual metaphors. A metaphor takes shape as one gets behind another or is replaced with another: one thing comes into conflict with another thing, one image with another image, and one concept with another concept. Primal and poetic zen-like metaphors, communions among concrete nouns, are possible only when they are sought out with difficulty as they are hidden behind conceptual metaphors.

 

 

 

Now Let’s Talk Again About Photography

 

Poem & Line talks about language and things.

 

“The aspects of things that are most important for us are hidden because of their simplicity and familiarity. (One is unable to notice something because it is always before one’s eyes.) The real foundations of his enquiry do not strike a man at all. Unless that fact has at some time struck him. And this means: we fail to be struck by what, once seen, is most striking and powerful.”  (Ludwig Wittgenstein 1889~1951)

 

“A photograph is not a utility pole itself but is nothing but its image.” The desire to perceive, the viewer’s gaze, disappeared metaphors, the signified floatingEnzi. Yang’s photographs feature aspects that make us feel perplexed and embarrassed. 

 

 

 

 

 

2017,  Gana Art Space, Seoul

 

 

 

 

 

 

[ 시, 선에 대해 평론하다 ]

 

 서  민  석

 

 

 

케빈 코스트너가 감독 · 주연 · 제작을 맡은 영화 '늑대와 함께 춤을(Dances with Wolves, 1990)'이란 영화를 보면 북미 인디언들은 사물을 표현하는 방법이 아주 독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먹 쥐고 일어서', '바람처럼 빠른 사람'이 있는가 하면 영화의 주인공은 늑대와 함께 노는 모습을 보여 '늑대와 춤을'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진다. 인디언들의 이름에는 성이 없다. 그들에게는 동물과 나무, 돌까지도 한 혈족이고 친척이며, 그렇게 자라서 자기들만의 성이 필요 없었을 지도 모른다. 인디언들의 세계는 이름으로 가득 차 있다. 그들은 이 세상 속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게 마음을 주고 그것들에 어울리는 이름을 붙였다. 그래서 그 이름들은 울림이 있다.

 

 

 

아담(Adam)의 언어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이 자신의 초기 사상을 주도한 에세이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Über Sprache überhaupt und über die Sprache des Menschen에서 언어의 본질에 대해 성찰하며 쓴 말이다.

 

먼저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란 제목부터 특이하다. , 언어 일반(사물의 언어)이 있고 특별히 인간의 언어가 있다는 것이다. 언어는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사물이 언어를 갖고 있으며 '말함'으로써 사물은 창조되고 인식된다. 인간이 아직 주체가 아니고 자연은 아직 객체가 아니었을 시절, 이름만 들으면 그 사물의 정신적 본질이 저절로 알려지는 그런 시절이 있었다. 언어적 본질을 발견해 내어 그것을 '이름'지었기 때문에 이름 자체가 본질을 드러내고, 사물 · 자연과 인간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했다. 그러나 추상개념이 생성되면서 인간은 이 언어를 잃어버렸다.

 

 

 

사진은 언어다 !..?

 

아담의 언어를 잃어버린 인간은 타락의 역사를 걷게 된다. 타락의 역사에 취해있던 도중 에 사진이 발명 되었다. 최초의 바디 랭귀지(body language)로 부터 이미지로, 이미지에서 소리로, 소리에서 말로, 말에서 문자로, 문자에서 다시 화상언어로 언어의 발전이 진행되었다. 이 화상언어로서의 시작에는 사진이 있다. 사진은 통역이나 번역이 필요 없는 보편적인 언어다.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 그것은 현대적 시선의 출발이다. 사진은 말한다. “보는 것, 그것은 읽는 것이다.”라고...

 

로티(Richard Rorty 1931~2007)의 지적처럼 서양 철학사는 시각적 은유의 지배의 역사에 다름 아니다. ‘보다(Voir)’안다(Savior)’이다. 그렇기 때문에 잘 알려진 철학적 개념들, 즉 반성(Reflection), 사유(Speculation), 전망(Vision) 등은 어원으로 볼 때 보다라는 지각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다. (Konermann) 서양철학에서 가장 고귀한 정신의 활동으로 여겨지는 이론(Theoria)은 시각의 영역에서 차용되어진 것이다. (Jonas) 인간의 역사는 시각중심으로 움직여 왔지만, 시각중심 문화는 인간학적인 절대적 조건은 아니다. 그것은 역사화 된 구조이다.

 

언어의 기원에 관한 소론에서 루소는 언어 그 자체는 은유로 시작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간이 말을 하도록 유도하게 된 최초의 동기는 정서였기 때문에 그의 최초 발화는 비유(은유)였던 것이다.

 

 

 

질병으로서의 은유

 

수잔 손택(Susan Sontag 1933~2004)은유로서의 질병이라는 책에서, 질병(언어)이 은유로 표현되면서 생겨나는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자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결핵에는 언제나 낭만적인 이미지가 따라다녔다. 결핵은 시인과 예술가들의 질병이자, 보헤미안의 병이었다. 결핵 환자는 고뇌와 열정으로 스스로를 소모한다. 장티푸스는 장티푸스를 염병(染病)’이라는 또 다른 언어로 표현하는 순간 장티푸스라는 질병에는 사회적 편견과 저주가 묻어난다. 에이즈라는 언어를 현대판 흑사병, 동성애, 혼외성교 같은 음탕한 성욕 같은 부정적인 언어로 표현하거나 오염시키고 덧씌우면서 영화 너는 내 운명에서처럼 질병 자체의 에이즈가 아니라, 에이즈라는 언어가 사람을 죽음으로 몰고 가기는 기묘한 현상도 나타난다. 사람을 죽이는 것은 단지 질병 그 자체만이 이유는 아닌 것이다. 그 질병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인간이 만들어내는 공포스러운 언어들이 어찌 보면 더 큰 원인을 제공하는지도 모르겠다. 그녀는 질병은 그저 질병이며, 치료해야 할 그 무엇일 뿐이다.”라고 말한다.

 

우리는 흔히 언어가 사실을 말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언어로 표현되는 순간 현실적 실체가 갖는 다양한 속성은 축소되거나 은폐된다. 언어는 항상 개념 또는 비유와 상징을 통해 현실의 한 가지 측면을 강조하여 말하기 때문이다.

 

인지언어학자인 레이코프(George Lakoff)와 존스(Mark Johnson)삶으로서의 은유 Metaphors We Live By에서 은유적 표현이 결코 예외적인 것이 아니며, 오히려 우리의 사고 과정이나 개념 체계가 전반적으로 은유에 기대고 있다고 주장한다. 언어의 생성과정 자체가 삶으로부터의 은유라면 우리는 지금도 여전히 은유 생산자이며 은유 소비자로서의 은유로부터의 삶을 어렵게 살아내고 있다.

 

레이코프는 이미지 은유의미 은유에 대해서 말한다. 추상명사가 생성되기 시작하면서부터 선()적이며 시()적인 표현은 사라지고 이미지대신 의미가 담긴 사유가 삶과 표현을 지배하는 철학적 삶이 시작된다. 이미지 은유가 의미 은유로 대체되어 일상에서 은유가 사라진 것처럼 느끼게 되는 것이다. 사물과 사물, 이미지와 이미지, 개념과 개념이 충돌하여 하나가 어느 하나 뒤에 숨거나 대신함으로서 생겨나는 게 은유다. 순수 은유인 구상명사들만의 교감 즉, 원초적인 시적, 선적 은유는 의미 은유속에 꼭꼭 숨어있어, 숨바꼭질 하듯 힘들게 찾아내야만 교감이 가능하다.

 

 

 

이제, 사진 이야기로 넘어가 보자

 

'시 & (詩 & : Poem & Line)'은 언어와 사물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사물의 측면들은 숨겨져 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단순하고 친근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어떤 것을 알아챌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항상 우리 눈앞에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탐구에서 진정으로 근원적인 것은 우리에게 전혀 인상적이지 않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가 일단 그것을 한번 본 다음에는, 가장 놀랍고 가장 강력한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1889~1951)

 

사진은 말한다. "사진은 전신주 그 자체가 아니며, 다만 전신주의 이미지일 뿐"이라고... 지각(知覺)하려는 욕망, 관람자의 응시, 사라진 은유, 부유(浮游)하는 기의(記意)... 엔지 양의 사진은 우리를 안절부절 못하게 만드는 구석이 있다.